들어가며

오늘 하루도 저물어 가는 것을 보며 세월의 무상함을 느낀다.

20대에는 하루하루가 너무 빨리 지나가서 가는 시간이 아쉬웠다면 30대에는 하루하루가 정말 빛의 속도로 사라져서 무섭다.

30대 후반부로 접어들며 느끼는 시간 감각

어느덧 30대 중반을 지나 후반으로 접어들고 있다. 어제처럼 생생했던 20대의 기억들이 이제는 흐릿한 꿈처럼 느껴진다. 그때 내가 그렸던 30대의 모습을 되돌아보니, 이루고자 했던 것들은 아직도 손에 닿지 않은 채 시간만 흘러갔음을 깨닫는다.

후회 없는 삶을 살자고 다짐했던 그때의 나에게 지금의 나는 무엇을 말해줄 수 있을까. 돌이켜보면 후회할 일들이 산처럼 쌓여있다. 그 산을 넘어서야 할지, 아니면 그 산 앞에서 주저앉아야 할지 아직도 알 수 없다.

현실은 불확실하다는 것을 늘 마음에 새기고, 그 불확실성 속에서 즐거움을 찾아 살아가자고 다짐했었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인가 과거의 경험들이 나를 옭아매기 시작했다. 익숙한 패턴에 안주하며 불확실성을 두려워하는 나 자신을 발견할 때, 그 비참함은 말로 표현하기 어렵다.

20대의 나는 30대의 나를 이렇게 그렸다. 작은 작업실 하나, 그 안에서 금전적인 걱정 없이 놀고 만들고 싶은 것들을 만들며, 읽고 싶은 책들을 읽는 안빈낙도의 삶. 하지만 지금의 나는 그 그림 속에 하나도 들어있지 않다. 시간만 흘러 보낸 것은 아닐까. 그 시간들이 정말 내 것이었는지 의심이 든다.

30대에 그리는 40대의 나

40대의 나는 지금의 나와는 다를 것이다. 30대 후반의 이 시점에서 다시 한번 그려보는 40대의 모습은, 지금의 아쉬움과 후회를 거울삼아 그려진 그림이다.

40대의 나는 후회 없는 삶을 살고 있을 것이다. 아니, 후회가 있다면 그것은 도전하지 않았던 것에 대한 후회일 것이다. 실패에 대한 후회가 아니라 시도하지 않았던 것에 대한 아쉬움. 그런 후회라면 나는 기꺼이 안고 갈 수 있을 것 같다.

40대의 나는 불확실성을 두려워하지 않을 것이다. 과거의 경험은 나를 옭아매는 족쇄가 아니라, 새로운 도전을 위한 발판이 될 것이다. 익숙함에 안주하지 않고, 매 순간 새로운 가능성을 찾아 나아가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불확실성 속에서 오히려 흥미를 느끼고, 그 속에서 기회를 발견하는 눈을 갖고 있을 것이다.

40대의 나는 20대에 그렸던 그 그림 속에 있을 것이다. 작은 작업실 하나, 그 안에서 금전적인 걱정 없이 자유롭게 만들고 싶은 것들을 만들며, 읽고 싶은 책들을 읽는 안빈낙도의 삶. 그 그림이 현실이 되었을 때, 그때의 나는 30대의 나에게 이렇게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시간은 정말 네 것이었다. 그리고 그 시간들이 모여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