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룡건설 주가 분석
by 김지운
들어가며
이 분석은 개인적인 사견 및 추측이 들어간 분석으로 개인적으로 자료를 남기는 목적이므로
이를 바탕으로 금전적으로 이득 혹은 손실을 초래할 행위를 하지 않기를 바라며 이에 따른 책임은 본인에게는 없습니다.
계룡건설 영업정지 이슈
계룡건설의 영업정지는 혼자만의 이슈가 아니라 한국의 모든 건설사의 공통된 이슈로 특별한 일이 아니다. 앞으로 산업현장의 안전조치 및 관리에 관련한 법률이 강화되면서 준비 안된 기업은 힘들 겠지만 결국 이에 따른 새로운 비지니스 룰은 해당 산업의 플레이어들이 가장 잘 할 것이다.
사업 구조 및 전망
민간 사업보다는 정부주도의 인프라 사업이 주요 매출비중을 차지하며 현재 수주해놓은 것도 충분하며 지금의 주가는 저평가 되어있다.
TSR로 봐서 주주 환원은 별로 좋지 않으며 거버넌스 또한 안좋은 편이지만 이는 한국의 상장사들의 전반적인 이슈로 볼 수 있다. 다만 상법개정에 따른 변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선거 때마다 다시 주목받는 지방균형발전 테마 중 세종 수도이전 및 기능이전에 묶여서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진입해봄직하다.
현재 주가 및 재무 지표
2025년 11월 기준 계룡건설의 재무 지표는 다음과 같다.
- 주가: 16,690원
- PBR (주가순자산비율): 0.17배
- PER (주가수익비율): 2.7배
- ROE (자기자본이익률): 6.48%
- 배당수익률: 2.32%
PBR 0.17배와 PER 2.7배는 건설업 평균(평균 PBR 약 1.0배, PER 약 16.5배)과 비교하여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계룡건설이 명확히 저평가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현재 주가는 영업정지 이슈로 인해 눌린 상태임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2020년 기준 TSR (Total Shareholder Return) 분석
TSR은 주가 변동률과 배당 수익률을 합산하여 계산된다.
2020년 11월 4일 기준 주가 20,550원에서 현재(2025년 11월 4일) 주가 16,690원까지의 TSR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주가 변동률
- 2020년 11월 4일 주가: 20,550원
- 2025년 11월 4일 주가: 16,690원
- 주가 변동률: ((16,690원 - 20,550원) / 20,550원) × 100 = 약 -18.8%
배당 수익률
- 연평균 배당수익률 2.32%를 기준으로 5년간 누적 배당 수익률은 약 11.6%
총주주수익률(TSR)
- TSR = 주가 변동률 + 배당 수익률 = -18.8% + 11.6% = 약 -7.2%
5년간 주가는 하락했지만 배당 수익률을 통해 손실을 일부 상쇄하여 총 주주 수익률은 약 -7.2%를 기록했다.
주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배당수익률 2.32%를 유지하면서 저평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은 역으로 해석하면 현재 주가가 더욱 저평가되어 있어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매매 시나리오
현재 신용비율 및 대차잔고를 고려하면 추가적으로 하락할 수 있으며, 현재의 코스피 지수의 상승이 꺾이면 그에 따른 충격으로 하락 폭이 클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리스크를 고려한 매매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 16,000원 레벨: 매수 비중 5%
- 15,000원 레벨: 매수 비중 5%
- 14,000원 대: 매수 비중 10%
- 바닥 구간: 10,000원을 깨지는 경우 9,990원 쯤에서 나머지 비중을 전부 매수
- 추가 하락 시나리오: 만약 무너지는 경우 11,000원 정도에 비중 조절하며 다시 늘려가는 시나리오
이러한 단계적 매수 시나리오로 매매한다면 큰 손해는 안볼 것이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Subscribe via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