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운's 개발일기
기술 경력 블로그
-
Grphql Tutorial 2
들어가며 Graphql Tutorial 1 에서 Graphql이 어떤면에서 좀 더 괜찮은지 살펴봤다. 이제 본격적으로 코드를 보도록 하겠다. 일단 필요한 의존성은 아래 package.json을 참고하도록 한다. package.json { "name": "graphql", "version": "0.0.0", "description": "using vs code project", "main": "index.js", "engines": { "node": "^8.9.4", "npm": "^5.6.0" }, "scripts": { "test": "echo \"Error: no test...
-
Grphql Tutorial 1
Why Graphql? 우리가 기존에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 화면의 디자인, 동작을 담당하는 프론트엔드 영역과 프론트엔드에서 요청하는 데이터들 혹은 페이지를 전달해주는 백엔드 영역을 개발하게 된다. 최근 개발되는 거의 모든 백엔드 영역은 RESTful 하게 개발되어진다. RESTful 한 API는 현재까지도 유용한 API 개발 방법이다. 잘 설계된 API들은 직관적이며 사용하기 편리하다. 어떠한 기능을 하고 하는데...
-
2018년 회고
본격적인 회고를 작성하기 이전에 작년에 내가 작성한 회고록(2018년에 쓰는 나의 첫 실패)을 다시 읽어봤다. 이때의 나는 첫 회사를 그만두고 나와서도 상당히 의욕적으로 글을 남긴것같다. 크게 새로운 해 목표로 아래와 같이 정했었다. 1일 1 커밋 1일 1 포스팅 또한 회고록에는 적지 않았지만 이외의 목표로 개인프로젝트 외주(사이드 잡) 을 계획했으며 구체적으로 외주의...
-
Electron 을 이용한 데스크탑 채팅앱 개발강의 intro
강의 제작목적 2017년 11월 회사를 퇴사할 때부터 시작한 기술 및 스터디 블로그를 통해서 색다른 기회가 생겼다. 물론 돈으로 직결되지는 않지만 나름의 보람이 있는 일이 될듯하다. 인프런 이란 곳에서 강의영상을 제작해볼 생각이 없냐는 제의를 받고 2018년 6월 23일부터 강의를 제작중이다. 강의 주제를 뭘로 할까 고민하다가 제작중인 앱과 비슷한 내용으로 해보면 어떨까...
-
Electron & Socket.io 를 이용한 챗봇 개발기5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이언트 코드 부분을 보도록한다. 본격적인 포스팅에 앞서 약을 약간 팔자면 이번 프로젝트를 하면서 기술적인 목표를 몇가지 잡은게 있는데 아래와 같다. Web frontend 공부 electron 공부 react 공부 react-native 공부 각각의 단계에서 지금 과정은 1~2번이다. 굳이 react를 Web frontend 공부에서 분리한 이유는 부족한 Web frontend의 기초를 다지며 facebook이 거쳐온...